2013년도에 땄던 2종 보통 운전면허증이 갱신일이 다가왔다.
기간 안에 갱신 안하고 있다가 걸리면 과태료가 2만원이라고 해서, 부랴부랴 갱신을 알아봤다.
요점만 말하면,
현장으로 (전국 경찰서, 운전면허시험장) 갱신 접수 하러 가기 전에 온라인으로 미리 신청하기!
현장으로 가면 실물 사진을 1장 챙겨가야하기도 하고
운전면허증 신청 및 찾기까지 총 2번 방문해야 하니 귀찮다.
(※경찰서 민원실은 2번 방문, 운전면허시험장은 당일날 발급 가능)
내 경우는 처음 운전면허증을 발급 받았던 관할 경찰서에서 멀~리 이사오기도 했고
현재 사는 곳에서 경찰서가 가까운터라 온라인 갱신을 알아보았다.
온라인의 경우 사진은 이미지 파일로 준비하면 된다.
보통 증명사진이나 여권사진을 사용하면 잘 통과되며,
셀카나 일반 사진에서 부분 잘라내기 한 사진은 부적합 판정 받는다.
사진관에서 한 번 사진 찍을 때 실물 사진만 인화할게아니라 이미지 파일을 꼭! 받아두면 좋다.
여러모로 사용할 곳이 많으니까.
70세 이하, 2종 보통 면허는 적성검사도 하지 않아서 온라인 갱신 접수가 쉽다.
https://www.safedriving.or.kr/guide/larGuide011.do?menuCode=MN-PO-1211
적성검사/면허갱신 |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적성검사/면허갱신 적성검사 면허갱신 신청장소 - 적성검사(1종 면허, 70세 이상 2종 면허) 및 2종 면허갱신: 전국면허시험장 또는 경찰서 교통민원실 ※ 강남경찰서는 적성검사, 면허갱신 업무를
www.safedriving.or.kr
인터넷으로 수수료까지 결제하면, 약 1달 후에 원하는 경찰서에서 받을 수 있다.
갱신된 운전면허증 찾으로 갈때는 '갱신'이기 때문에 (분실 NO) 기존 운전면허증을 가져가서 반납해야 한다.
만약 분실했다면 수수료를 추가로 지불해야 한다.
당일에 바로 받고 싶다면 가까운 운전면허시험장을 예약 방문하길 추천한다.
** 요약.
운전면허 갱신 가능 장소 : 가까운 경찰서, 운전면허시험장.
(파출소 아님 주의, 운전면허 학원 아님 주의)
시간 적 여유가 있으면 온라인 접수 먼저, 후에 경찰서 민원실 방문
시간 적 여유가 없으면 운전면허시험장으로
준비물 : 사진 1장(실물 또는 이미지 파일), 수수료, 기존 운전면허증
*** 추천.
갱신할 때 영문운전면허증(국문겸용)으로 받기.
국제운전면허증은 유효기간이 1년인데, 영문운전면허증인 유효기간이 10년!
물론 한 나라에 장기 체류시에는 최대 3개월만 인정 가능하단다.
** 추가 기록
- 약 1달을 기다려야 하나 했지만, 완료 문자는 약 2주 후였음.
- 내가 수령지로 선택한 경찰서 교통민원실을 방문했는데, 민원인이 많아서 은행 줄 기다리는 것 처럼
긴 대기시간이 소요되었다.
- 이러나 저러나 기다림은 필요한 듯. 갱신된 운전면허증 찾으러 갈 때는 요일과 시간대 눈치싸움을 하길!
'경험 한 것 > 구매 및 경험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용품] 다이소 서랍 칸막이_사용 후기 (0) | 2024.08.06 |
---|---|
[싱크대 줄눈] 셀프 시공, 싱크대 줄눈 도전 후기 (0) | 2022.03.26 |
[당근마켓] 내돈내산 당근마켓 후기 (0) | 2020.06.01 |
[편의점 후기] GS25, youus 녹차티라미수 (0) | 2018.03.23 |
[편의점 후기] CU ㅇㄱㄹㅇㅂㅂㅂㄱ(이거레알반박불가) 구매 후기 (0) | 2018.03.01 |
댓글